N치 테스트란 지반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표준관입시험(SPT, Standard Penetration Test)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위의 예제에서 매립층 2m 부근 9번 때리면 30cm 내려가는 것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값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N치 = 9/30 = 9tonf/㎡ = 90kN/㎡
지하 1층(약 5m 깊이)까지 파면 10층 건물 지지 가능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풍화토 약 5m 깊이, 즉 지하 1층까지 파면 10층 건물을 지지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때 10층 건물의 상재하중은 150kN/㎡로 예상되며, 5m 깊이에서의 Fe(허용지내력)는 18회/30cm로 180kN/㎡로 볼 수 있습니다.
- 상재하중: 150kN/㎡
- 허용지내력(풍화토 5m 깊이): 180kN/㎡
이 수치들을 통해 5m 깊이에서 10층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깊이 알아보자: N치(50회/3cm)의 의미
또한 N치가 50회/3cm라는 추가 데이터도 얻었습니다. 즉, 50번 때려도 3cm밖에 내려가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지반이 매우 단단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건물의 안정성을 더욱 높여줍니다.
기초 크기 구해보기: 4층 높이 기둥 기준
가령, 그림과 같이 4층 높이 기둥에서 4000kN의 축력이 작용하고 있고 허용지내력(Fe)=180kN/㎡인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응력 공식에 입각하여 필요 면적은 아래와 같이 구해집니다.
다만, 22.22㎡라는 애매한 크기의 기초는 만들기 어려우므로, 아래와 같이 비교적 정형화된 수치(5mx5m)의 독립기초를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지반 내력이 너무 약하거나 상재하중이 너무 크면 매트기초나 줄기초를 채택하여 면적(A) 값을 크게하여 대응할 수 있다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구조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계산: 2방향 슬래브 두께 구하기 (1) | 2024.08.24 |
---|---|
손계산: 철골(STEEL) 보 설계하기 (0) | 2024.08.24 |
손계산: 철근콘크리트(RC) 보 설계하기 (0) | 2024.08.24 |
손계산: 철골(STEEL) 기둥 설계하기 (0) | 2024.08.24 |
손계산: 철근콘크리트(RC) 기둥 설계하기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