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설계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건축물의 최대 하중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로 8m, 세로 8m인 면적 기준으로 최대 하중을 산정하는 방법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둥의 하중 산정
기둥의 크기와 재료의 단위 중량을 고려하여 하중을 계산합니다.
- 기둥 크기: 400mm x 400mm x 4000mm
- 기둥의 단위 중량: 24kN/m³
기둥의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2. 거더의 하중 산정
거더는 두 개가 설치되며, 크기와 단위 중량을 고려하여 하중을 계산합니다.
- 거더 크기: 400mm x 800mm x 8000mm
- 거더의 단위 중량: 24kN/m³
거더 두 개의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3. 빔의 하중 산정
빔은 ½ 크기로 두 개가 설치되며, 크기와 단위 중량을 고려하여 하중을 계산합니다.
- 빔 크기: 400mm x 800mm x 8000mm
- 빔의 단위 중량: 24kN/m³
빔 두 개의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4. 슬래브의 하중 산정
슬래브의 크기와 단위 중량을 고려하여 하중을 계산합니다.
- 슬래브 크기: 150mm x 8000mm x 8000mm
- 슬래브의 단위 중량: 24kN/m³
슬래브의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5. 무근 콘크리트 (마감)의 하중 산정
마감의 크기와 단위 중량을 고려하여 하중을 계산합니다.
- 마감 크기: 100mm x 8000mm x 8000mm
- 마감의 단위 중량: 23kN/m³
마감의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6. 고정 하중의 합산
위에서 계산된 각 요소의 하중을 합산하여 고정 하중을 구합니다.
7. 활 하중 산정
근린생활시설 기준으로 최대 활하중을 계산합니다.
- 활하중 기준: 5kN/m²
- 면적: 64m²
활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8. 총 하중 계산
고정 하중과 활 하중을 합산하여 총 하중을 구합니다.
9. 조적 혹은 칸막이 하중 추가
마지막으로 예상되는 조적 또는 칸막이 하중을 더하여 최대 하중을 산정합니다.
이와 같이, 가로 8m, 세로 8m 면적 기준의 최대 하중을 1000kN(약 100ton)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구조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계산: 철골(STEEL) 보 설계하기 (0) | 2024.08.24 |
---|---|
손계산: 철근콘크리트(RC) 보 설계하기 (0) | 2024.08.24 |
손계산: 철골(STEEL) 기둥 설계하기 (0) | 2024.08.24 |
손계산: 철근콘크리트(RC) 기둥 설계하기 (0) | 2024.08.24 |
손계산: 1방향 슬래브 두께 구하기 (0) | 2024.08.24 |